본문 바로가기
투자

'복리' 개념의 재정립

by 도오담 2023. 3. 17.
반응형

복리의 개념을 재정립해보자.

 

기본적으로 알고있는 복리의 개념 = '이자의 이자'일 것이다.

 

맞는말이다. 하지만 조금 더 넓게 보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.

 

자본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는 것이다. 왜냐하면 우리가 자본주의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.

 

자본 = 돈이다. 돈이 곧 자본이고 자본은 곧 돈이다.

 

'돈이 돈을 부른다.' 라는 말을 들어봤는가?

 

돈이 돈을 부르는 것은 '은행'이 증명해 준다. 

 

내 돈을 은행에 맡기면 은행은 그 대가로 돈을 준다.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'이자'이다.

 

그 밖에도 돈은 잘쓰면 돈을 불러온다. 물론 못쓰는 경우도 많겠지만 이건 제외하도록 하자! (본인들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)

 

투자에서도 잘만하면 돈이 돈을 부른다. 

 

부동산을 보자. 아파트 1채를 1억에 사서 월세 100만원에 임대를 줬다고 가정하자. 빚은 없다.

 

1년 후 아파트 가격은 5천만원이 올랐다. 그럼 나는 5천만원을 벌었고, 월세 100만원 X 12개월 = 1,200만원 총 6,200만원을 벌었다.

 

1억이 1년 후 1억 6,200만원이 된 것이다. 이걸 반복한다면?

 

이제 주식을 볼까?

 

삼성전자 주식을 주당 5만원에 10주 샀다. 총 50만원

 

삼성전자 주식이 1년 후 주단 10만원이 되서 팔았다. 지갑에는 100만원이 들어있고 나는 50만원의 시세차익을 얻었다.

 

경제위기가 와서 10만원이던 삼성전자 주식이 반토막나서 다시 5만원이 되었다.

 

내 지갑의 100만원으로 다시 삼성전자 주식을 샀다. 몇 주가 있을까? 20주다.

 

1년 후 삼성전자 주가가 다시 10만원이 되서 다 팔았다.

 

이제 내 지갑에는 200만원이 들어있다. 이걸 반복한다면?

 

이것이 바로 '복리'이다. '돈이 돈을 부른다는 것'

 

그림으로 보면 이렇다.

 

네모 박스는 '돈'이다. 그럼 화살표는 뭘까?

 

내가 생각하기에는 '올바른 원칙'이다.

 

'돈''올바른 원칙'으로 투자했을 때 '복리'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.

 

'올바른 원칙'으로 '돈''투자'하면 복리가 되고 복리는 복리를 부르게 된다는 생각이다.

 

올바른 원칙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.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리의 효과를 극대화 하지 못하는 것 같다. 나도 그렇고

 

주식투자를 예로 들어보자.

 

100만원으로 한 종목 단타를 쳐서 200만원이 되었다. 나는 100만원을 번 것이다.

 

여기서 두 가지로 나눠서 생각을 해보자.

 

1. 돈도 벌고 기분 좋네. 친구들한테 자랑하니 한턱 쏘라고 한다. 그래 먹고 죽자!! 가즈아~~~를 외치며 소고기에 소주 파티를 했다. (-30만원) 여자친구와 근사한 레스토랑에 가서 밥도 먹고 데이트를 즐겼다. 간단한 선물도 했다. ㅎㅎ 오랜만에 멋진 남자친구가 된 것 같다. (-30만원) 예전에 봐뒀던 옷과 신발이 있었다. 꽁돈도 생겼겠다. 지르자!!!(-20만원) 와 그래도 20만원 남았네!! 대박!!!

 

2. 헐 대박.. 나 단타에 소질이 있는 건가? 한번만 더 해볼까? 200만원으로 또 단타 쳐서 400만원을 벌었다. 대박이네!!

 

위 2가지 예시의 차이점은 뭘까?

 

네모박스를 보면 알 수 있다. 첫번째는 '복리'의 효과를 누리지 못한 것이고 두번째는 복리의 효과를 누린 것이다.

 

여기서 알 수 있는 것!

 

1. '소비'는 복리의 큰 걸림돌이다. 

2. '돈으로 돈을 벌어서 또 돈을 버는 행위'를 반복해야 한다.

 

이 두가지가 핵심인 것이다.

 

돈 조금 벌었다고 기분 좋아서 옷사고 차사고 하고 싶은거 다하면 결국 제자리 걸음이거나 오히려 가진 돈까지 잃게 된다는 말이다.

 

그럼 돈을 가지고 있고 돈을 벌고 싶다면 해야되는 것은?

 

1. 돈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것을 찾자!

2. 찾았으면 리스크를 점검하고 리스크를 줄이면서 돈을 벌어보자.

3. 번 돈을 활용하여 1~2번을 무한 반복하자!

 

이것이 자본주의에서 돈 벌고 성공하는 방법의 전부이다.

반응형